※ 이 글은 전시 감상 및 문화유산 기록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사용된 사진은 현장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이며,
필요한 경우 관련 기관, 단체 또는 공개된 자료를 참고하거나 일부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출처를 반드시 포함하겠습니다.
모든 콘텐츠는 비영리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저작권은 해당 작가·기관에 있으며, 요청 시 즉시 수정 또는 삭제하겠습니다.
조신의 르네상스 영·정조시기
모든 화제에서 탁월한 실력을 보인 대가 단원 김홍도
오늘 소개할 작품은 그가 서민의 삶을 생동감 있게 포착해 그린 《단원 풍속도첩》중 한 점이다.
간결하면서 섬세한 철선묘로 그려진 이 그림은
자칫 단조롭게 느껴질 수 있는 원형 구도 속에 엿장수, 생동감 넘치는 표정과 몸동작 등을 통해 강한 역동감을 보여준다.
또한 독특하게 활용된 여백은 바 씨름을 하는 두 인물에게 자연스럽게 시선을 집중시키며,
장면 전체에 긴장감 있는 리듬을 부여한다.
총 22명이 등장하는 이 그림,
모내기가 끝난 단오날 한양 거리에서 벌어진 씨름 경기를 묘사했다.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듯, 몰락 양반을 포함한 서민들이 한데 어우러져 경기를 즐기고 있다.
중앙의 씨름 선수는 안간힘을 쓰는 표정으로 경기에 임하고,
옆에 놓인 신발을 통해 이들 중 한 명은 양반 출심임을 유추할 수 있다.
다음 경기를 기다리는 이는 긴장된 표정으로 경기를 지켜본다.
또한 곳곳에 드러난 과장되거나 왜곡된 신체 표현은 보는 이로 하여금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당시 서민들은 이 그림을 보며 웃고 지친 마음을 달랬다고 합니다.
요즘처럼 지친 일상에서, 그림 한 점 보며 쉬어가는 건 어떨까요?
지금까지 오늘의 작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단원 김홍도의 <씨름>
항상 부족한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1. 틀린 부분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2. 추가 부분 있으면 알려주세요.
3. 본 글은 수익 창출을 하지 않습니다.
- 《단원 김홍도의 씨름》, 국립중앙박물관 유튜브
- 나인엽.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특징에 관한 연구」.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22. 전라남도.
- 전은림.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02. 서울.
- 박현애. 「김홍도 풍속화의 해학적 미감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08. 서울.
'박물관, 미술관 > 박물관+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품소개] 꽈리 열매가 있는 자화상 (1) | 2025.09.20 |
---|---|
[작품소개] 인왕제색도 (1) | 2025.09.13 |
[작품소개] 초동 (0) | 2025.09.10 |
[국립춘천박물관 + 강릉오죽헌시립박물관]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6) | 2025.08.17 |
[국립중앙박물관] 경주 기림사 건칠보살반가상 (5)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