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전시 감상 및 문화유산 기록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사용된 사진은 현장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이며,
필요한 경우 관련 기관, 단체 또는 공개된 자료를 참고하거나 일부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출처를 반드시 포함하겠습니다.
모든 콘텐츠는 비영리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저작권은 해당 작가·기관에 있으며, 요청 시 즉시 수정 또는 삭제하겠습니다.
1. 도입부
조선 후반 전반기 양란과 호란 등의 전쟁 이후 피폐해진 사회가 점차 안정을 되찾으면서 전국 각지의 사찰에서 중수가 이루어지고 대규모 불사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영산회상도는 이 시기 중심 전각에 모셔지는 대표적인 불화의 한 종류다.
오늘 소개할 영산회상도는 1725년 송광사에서 대규모 불사가 진행된 시기에 조성된 불화로,
당시 불사를 총괄하던 수화승 의겸의 완숙한 화풍과 뛰어난 역량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화기에 의하면 영산전에 봉안했고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 총 9폭이 한 세트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불화는 세로 221cm, 가로 187.5cn 크기로 상단, 중단, 하단 삼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78위의 인물이 등장한다.
구성과 배치에서 1653년 진천 영수사 괘불과 유사한 점이 많아,
작업 전에 괘불을 친견했거나, 초본 혹은 화본을 참고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2. 상단
상단은 본존을 중심으로 십대제자, 팔금강, 사천왕, 타방불 등이 배치되어 있다.
본존불은 적색 통견의 대의를 착용하고, 녹색 군의를 두르고 있는데 적갈색 의대로 고정했다.
대의는 국화문과 원문을 시문했고, 단은 무문양이다.
얼굴은 전체적으로 둥글고, 이목구비는 작고 오밀조밀하게 표현되었다.
높지 않고 완만한 육계는 이중계주가 표현되었고, 수인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광배는 화염문이 장식된 연봉형으로, 두광 안쪽은 암녹색 신광 안쪽은 갈색으로 채색되었고,
신광 외곽에 삼고저 장식이 더해져 있다.
본존 상단 광배에는 4위의 부처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암녹색 원형 두광을 두르고 정상계주만 표현된 육계를 지닌 채 합장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데, 분신불로 생각된다.
본존 양측에는 십대제자가 좌우로 각 5위씩 배치되어 있다.
이 중 노비구는 복두의를 착용하고, 청년비구는 가사와 장삼을 갖추고 있다.
존명은 확인되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크게 표현된 노비구와 청년비구가 가섭과 아난으로 추정된다.
그 옆으로 배치된 사천왕은 초승달 문양이 시문된 갑주를 입고 있다.
이 중 1위는 합장한 채 본존을 바라보고 있고, 나머지는 주위를 경계하고 있으며 지물은 비파와 보주만 확인된다.
사천왕 위에 배치된 팔금강은 양어깨에 걸친 천의가 바람에 휘날리듯 표현되었으며, 주위로 화염문이 둘러져 있다.
사천왕과 마찬가지로 험상궂은 표정에 관식, 귀걸이 등으로 장엄되어 있어 강렬하고 위압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3. 중단
여섯 보살을 포함해 공양물이 놓여있는 불탁이 배치되어 있다.
불탁 위에는 공양물이 담긴 그릇을 비롯해 향로, 병, 찻잔 등이 놓여있다.
향로는 삼족로로 추정되며 향로와 향병에는 각각 산수문과 국화문이 그려져 있으며, 찻잔은 금기와 칠기로 보인다.
보살은 모두 본존불을 향해 합장하고 있다.
좌우 첫 번째 보살의 두광은 담묵이고 나머지 보살은 암녹색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담묵으로 표현된 보살이 문수와 보현으로 보인다.
중앙 보살은 천의만 걸친 형태이며, 좌측은 청색 우측은 녹색 천의를 두르고 있다.
4. 하단
하단은 중단과 달리 독립된 공간임을 나타내기 위해 구름으로 경계를 설정하고,
중앙 청문승을 중심으로 제석천 범천 주악천인 등을 배치했다.
주악천인은 장고, 당비파, 해금, 생황 등 다양한 악기를 들고 연주하고 있으며
범천, 천자, 속인들도 빼곡하게 자리 잡고 다양한 자세로 설법을 듣고 있다.
하단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중앙에 배치된 청문승이다.
비록 뒷모습으로 묘사되었지만, 적색 가사와 군청색 장삼을 착용하고 있으며
두광과 신광이 모두 표현되어 있다.
청문승은 고려부터 조선 후기까지 꾸준히 나타나지만, 보통 보살의 형태로 묘사된다.
그러나 영수사 괘불을 시작으로 괘불도 3점(영수사 영산회괘불도, 청룡사 영산회괘불도, 칠장사 삼불회 괘불도),
후불도 2점(송광사 영산회상도, 천은사 아미타설법도) 총 5점에서 승려 모습의 청문승이 확인되며,
그 가운데 영산회상도에 승려형 청문승이 나타나는 사례는 송광사본이 유일하다.
5. 화기
화기 첫 시작은 옹정 3년 5월 팔상도를 완성하고, 안녕을 기원하고 있다.
이어 시주질, 연화질, 공양주, 금어 등이 나온다.
화기 양 옆에 장황도 확인된다.
- 염중섭. 「靈山會上圖에 관한 상징과 의미 분석」. 『불교학연구』 27 (2010): 323-377.
- 유지원. 「순천 송광사의 영산전 불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24. 서울.
- 고상현. 「영산재의 성립과 전개 고찰」. 『헤리티지: 역사와 과학』 49.4 (2016): 180-195.
- 김현정. 「조선 후반기 제1기 불화의 화기를 통한 조성 배경 연구」. 『강좌미술사』 38 (2012): 119-148.
항상 부족한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1. 틀린 부분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2. 추가 부분 있으면 알려주세요.
3. 본 글은 수익 창출을 하지 않습니다.
'박물관, 미술관 > 박물관+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중앙박물관] 송광사 팔상도2 (4) | 2025.06.15 |
---|---|
[불교중앙박물관] 송광사 팔상도 Ⅰ (5) | 2025.06.08 |
[작품소개] 괘불 (2) | 2025.05.26 |
[작품소개] 십장생도 (1) | 2025.05.09 |
[불교중앙박물관] 해인사 영산회상도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