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전시 감상 및 문화유산 기록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사용된 사진은 현장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이며,
필요한 경우 관련 기관, 단체 또는 공개된 자료를 참고하거나 일부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출처를 반드시 포함하겠습니다.
모든 콘텐츠는 비영리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저작권은 해당 작가·기관에 있으며, 요청 시 즉시 수정 또는 삭제하겠습니다.
오늘 알아볼 감산사의 불상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3층 불교 조각실에 있으며 8c 통일신라 불교 조각의 성립 과정을 알려주는 대표작 중 하나다.
불상 모두 광배 뒤에 명문이 있어 조성 배경과 발원자 등이 확인되는데, 명문에 의하면 통일신라 성덕왕 시절 활동한 김지성이 고인이 된 부모의 명복을 포함해 국왕과 아찬 개원, 가족과 일체중생의 복을 빌기 위해 불상을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명문 마지막에 각각 어머니의 유골, 아버지의 유골에 관한 내용이 나오는데 미륵 보살상은 어머니를 위해, 아미타상은 아버지를 위해 조각했음을 알 수 있다.
- 이름: 감산사 미륵보살입상
-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국보 지정
- 크기: 전체 높이 2.57m, 보살 높이 1.83m
감산사 미륵보살입상은 화려한 장신구를 전신에 두르고 있고 풍부한 양감과 자연스러운 비례를 가지고 있다. 광배 뒤에 명문이 있으며 총 381자가 새겨져 있다.

도상을 살펴보면 먼저, 발계관 형태의 머리와 화려한 보관에 화불이 있어 관음상으로 착각할 수 있지만 명문을 통해 미륵불임을 알 수 있다.
보관은 당에서 자추 채용되는 삼면관 형식으로 양옆, 중앙에 화형 장식이 있다.


목의 삼도는 뚜렷하며, 경식은 두 줄로 되어 있는데 위는 연주문, 아래는 이중구조로 장식이 아래를 향하고 있다.

사괘는 왼쪽 손목 아래에서 시작해 오른쪽 허벅지로 돌아가도록 표현했고, 팔의 비천에는 화형장식이, 완천은 오른쪽에 인각문, 왼쪽에는 화형장식으로 되어 있다. 복식은 당대에 많이 채용된 복장이지만 당과 다르게 낙액과 천의가 같이 표현되어 있다.



양어깨엔 낙액과 천의가 묶여 있고 낙액은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까지 걸치는 포형식으로 겨드랑이 y모양 음각 선으로 보아 섬세하고 신체 비례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의는 좌우대칭으로 내려오다 신체 뒤로 돌아가 있는데 이는 신체 굴곡을 최대한 보여주기 위함이다.

요포는 요대를 이용해 흘러내리지 않게 고정했으며, 상단에서 한번 접어 내렸는데 오른쪽에 접힌 뒷자락이 보인다.
자세는 몸을 약간 오른쪽으로 비튼 삼곡의 자세인데 신체의 굴곡을 최소화해서 경직된 느낌을 주기도 한다.

얼굴은 볼살이 통통한 전형적인 당 미인의 상이다.

광배는 세 줄기의 융기선으로 가운데는 비운문, 외곽은 화염문이 조각되어 있다.

대좌 윗면을 살짝 뚫어 발을 끼웠고, 상대에는 12엽의 앙련과 복련을, 하대는 팔각으로 면마다 인상문을 조각했다.
- 이름: 감산사 아미타불입상
-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국보 지정
- 크기: 높이 275cm, 불상 높이 174.5cm, 광배 높이 206cm, 광배 너비 109.1cm, 대좌 높이 85cm
감산사 아미타불입상도 광배 뒤에 명문이 있으며 총 392자가 새겨져 있다. 미륵보살입상과 다르게 전체적인 비례미가 떨어지나, 법의가 몸에 착 달라붙어 있어 신체의 윤곽을 잘 보여준다.
법의 전면은 u자형 옷주름으로 되어 있는데 우드야나식 주름으로 불리며 8c 통일신라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인도의 영향을 받은 것 중 하나인데 인도와 달리 두 다리 사이까지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육계는 상투형, 두부는 나발형으로 굽타 양식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목구비는 좌우, 상하 길이가 달라 통일성이 결여되고 안정적 느낌을 주지 않으며 두꺼운 옷으로 인해 하반신이 짧아 보이고 허리가 잘록하게 느껴지지만, 허리와 어깨의 비례는 동일한 비율이다.


광배는 세 줄기의 융기선으로 두광 바깥쪽은 비운문, 신광 안쪽은 비운문 바깥은 화문으로 조각되어 있으며 대좌 상대는 앙련 9엽, 복련 8엽
하대는 팔각으로 각 면에 안상문을 조각했다.
- 참고문헌
- 이주형 ( Ju Hyung Rhi ). "미륵을 만나다: 감산사 미륵보살상의 형식과 의미에 대한 해명." 미술사와 시각문화 9.- (2010): 8-27.
- 소현숙. "甘山寺 彌勒菩薩立像 硏究 - 着衣 表現을 中心으로." 불교미술사학 17.- (2014): 43-70.
- 정송이.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도상학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5. 경기도
- 소현숙. "감산사 미륵보살입상과 아미타여래입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서울
- 黃僖境.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과 石造阿彌陀佛立像 硏究." 국내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07. 서울
항상 부족한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박물관, 미술관 > 박물관+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중앙박물관] 보광사 대웅보전 감로도 (0) | 2025.03.09 |
---|---|
[국립중앙박물관] 진천 영수사 괘불 (6) | 2025.03.02 |
[국립중앙박물관] 회암사명 약사삼존도 (1) | 2025.02.16 |
[대구간송미술관] 신윤복 미인도 (0) | 2025.02.09 |
[국립중앙박물관]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1, 1962-2) (0) | 2025.02.01 |